제주 상급종합병원 "중증·경증 환자 비율 충족 관건"
제주지역 상급종합병원 지정 여부가 올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환자 충족 비율이 관건으로 떠올랐다.
8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의 진료권역 분리 용역은 지난해 12월 말 종료됐고, 현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용역 결과에 대한 자료를 분석 중이다.
도에 따르면 복지부는 향후 주민설명회에서 제주지역 상급종합병원 설치 여부를 결정한다. 상급종합병원은 전국을 11개 진료권역으로 나눠 3년 주기로 평가한 후 지정한다.
한동수 제주도의회 의원(더불어민주당·이도2동을)은 8일 도정질문에서 “제주는 상급종합병원이 없는 유일한 광역자치단체로, 정부의 용역만 기다리는 게 아니라 도 차원에서 의료인력 유치와 인건비·시설비 등에 대한 국비 확보를 포함한 구체적인 지원 계획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에 오영훈 지사는 “상급종합병원 환자의 구성을 보면 중증 환자는 35% 이상을 초과해야 되고 경증 환자는 15% 이하의 수준을 유지해야 된다”며 “제주대병원은 현재 이 수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지만, 지난해부터 도입된 응급의료지원단이 본격 가동되면서 중증도에 따라 환자가 다른 병원으로 이동되면서 지표가 상당히 개선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립대병원인 제주대병원에서 고난도 수술 치료 인프라 확충을 위헤 시설 장비 지원에 110억원, 응급실과 집중치료실을 확장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교육진료동 증축에 5년간 89억원을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 지사는 “상급종합병원은 공공적 성격이 강한 의료기관으로 도민 건강과 직결되므로 주민들이 직접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설명이 필요하며, 지역의 의료계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여 공동의 목표 인식을 공유해 지정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캠페인을 펼쳐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도는 이를 위해 6개 종합병원장 협의체를 구성해 지역 필수 의사제 시범 사업, 수련병원 필수 진료과 전공의 지원, 서귀포의료원 의료 인력 지원, 중증 질환자 당직비 지원 사업에 총 70억원을 투입했다.
한편, 제주대병원은 전문진료질환군(중증 및 희귀·난치성질환) 비율이 지난해 32.9%로, 타 지역 국립대병원 수준에 도달했다. 아울러 현재 655병상을 800병상 이상으로 확충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6기(2027~2029년) 상급종합병원 지정에 앞서 올해 진료권역 분리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복지부는 제주도민들의 수도권 병원 이용률이 높고,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이유로 상급종합병원 제도가 시행된 2012년부터 제주를 줄곧 서울권역에 묶어 놓았다.
이로 인해 제주대병원은 서울 대형병원과의 경쟁에서 밀려 상급종합병원 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