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응급실 뺑뺑이 사망 '제로'…119 이송 지침·환자 분류 개선 성과
(제주=뉴스1) 홍수영 기자 = '의료대란' 사태에도 제주에서는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로 인한 사망자가 전무했던 배경에는 소방당국의 적극적인 대처가 있었다는 평가가 나왔다.
제주도감사위원회는 '2025년도 제주도소방안전본부 및 각 소방서 종합감사' 결과 '의료대란 상황 속 119구급대 역할 강화'와 '전국 최초 중증 응급환자 이송 언론사 협업체계 구축'을 모범사례로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
도감사위에 따르면 제주도소방본부와 각 소방서 4곳은 지난해 전공의 집단사퇴 등 '의료대란'으로 인해 의료공백이 예상되자 관서 구조구급과장을 대책반장으로 한 '119비상대책본부'를 운영했다.
119종합상황실 내 수보대 증설, 상담인력 보강 등을 통해 응급환자 이송 병원 선정을 전담하도록 하고, 제주도와 협업한 '도 응급의료지원단'을 활용해 특정병원 과밀화 방지 및 현장 응급처치 집중 등에 힘썼다.
특히 환자분류체계를 병원 단계와 통일시킨 '한국형 병원 전 응급환자 분류체계(Pre-KTAS)'를 도입함으로써 환자 증상에 맞는 적정 병원에 이송할 수 있었다.
지난해 6월부터는 전국 최초로 소방당국과 제주도 응급의료지원단, 의료기관이 참여해 응급환자 이송 지침을 마련하고, 올해 2월부터 특별구급대 확대 운영 등도 추진했다.
이를 통해 지난해 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응급환자 총 4만3504명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응급실 뺑뺑이'로 인한 사망자는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결과적으로 심정지 환자 자발순환회복률도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3년 19.2%에서 1.3%포인트 올라 지난해 2024년 20.5%를 기록했다. 전국 평균 11.7% 대비 8.8%포인트 높은 수준으로, 전국 2위를 달성했다.
한편 도감사위는 지난 2022년 5월부터 행정업무 전반에 대해 종합검사한 결과 제주본부 18건, 제주·서부·동부소방서 각 13건, 서귀포소방서 12건의 행정상 조치와 신분상 조치(경고 7, 주의 7), 259만원을 회수 또는 추급하도록 처분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