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지역필수·응급의료 제주도민을 지킨다/ 제주형 응급의료 체계 구축 / 지난해 응급의료지원단 출범/ 응급실 뺑뺑이 최소화 효과
지역 의료인력 활용 극대화
윤주형 기자 / 2025.09.03 08:39
제주도는 도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 등을 위해 ‘제주형 응급의료체계 구축’에 나서고 있다. 제주응급의료 헬기. 자료사진제주도는 응급의료와 필수의료, 공공의료 강화 등을 위한 각종 정책을 개발하고 있다. 응급·필수의료는 다른 분야와 달리 제주도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것이다. 그러나 제주도는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과 의료 자원 한계 등으로 서귀포시와 제주시 지역 간 의료 격차가 나타나는 등 복합적인 의료 취약성을 안고 있다. 이에 제주도는 도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제주형 응급의료 체계’ 구축에 나서는 등 의료 분야 정책을 강화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제주도의 의료 인프라 강화 정책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응급실 뺑뺑이’ 현상 방지제주도가 구축하고 있는 지역 맞춤형 응급의료 체계가 성과를 거두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제주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경증 환자 비율과 응급실 이용자 수 증가라는 구조적 문제뿐만 아니라,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 등으로 인한 의료 자원 한계와 지역 간 의료 격차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지역으로 분류된다.이에 따라 제주도는 도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 등을 위해 ‘제주형 응급의료 체계 구축’에 나섰다.우선 제주도는 지역 응급의료 역량 강화를 위해 지난해 2월 제주응급의료지원단을 출범시키고, 제주도 보건정책과에 전담팀을 신설하는 등 운영 기반을 강화했다. 정부의 의과대학교 정원 증원 방침에 의료계가 반발하면서 이어진 전공의 파업 등 ‘의료 대란’에 선제적으로 대처하려는 조치다.119가 긴급 환자를 이송할 경우 환자를 이송하는 병원에 해당 질환에 대한 의사가 있는지, 또 질환에 맞는 배후 진료 체계가 있는지는 파악하기 힘든 구조다. 기존에는 구급대원이 응급실에 일일이 전화해 환자 증상을 설명하고, 치료 가능 여부를 확인하다 보니 긴급 환자 이송에 차질이 발생하기도 했다. 제주도는 의료 대란에 대응해 응급의료지원단-소방-병원 협력체계 기반의 ‘제주형 이송·전원 핫라인’을 구축해 ‘응급실 뺑뺑이’ 현상 방지에 나섰다. 제주형 이송·전원 핫라인은 응급의료지원단이 중증 응급질환 치료 가능 병원을 매월 파악해 구급대에 공유하고, 환자를 이송하려던 병원이 환자를 받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면 적정 병원을 신속히 섭외하는 체계다.제주도가 제주형 이송·전원 핫라인을 갖춘 이후 지난해 한해 동안 2000명이 넘는 환자가 제때 진료가 가능한 병원으로 옮겨졌다. 87% 이상이 중증 환자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무엇보다 이송·전원 핫라인이 구축된 이후 경증 환자의 병원 이송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병원별 치료 자원을 반영한 ‘제주형 이송 및 수용 곤란 고지 관리 지침’을 시행하고, 구급차 등 긴급차량 우선 신호시스템을 도 전체로 확대해 응급환자 이송 시간을 단축했다.경증 환자의 경우 응급실이 아닌, 병의원 등으로 분산하기 위해 지난해 서귀포 지역에 처음으로 달빛어린이병원을 지정해 소아 경증 환자 수용 기반을 확충하는 등 서귀포시와 제주시 지역에 달빛어린이병원을 지정했다.▲중증 응급질환 진료 공백 차단제주도는 제주형 당직 지원체계를 도입했다. 제주도는 전문의와 심폐기사 등에게 수당을 지원해 월 20일 이상 안정적인 당직 체계를 구축했다.흉부·복부 대동맥 응급질환 등 5개 중증 응급질환 분야의 치료 가능 기관이 부족한 제주 지역 한계 등을 개선하려는 조치다.응급의료 체계는 짧은 기간에 완전히 향상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도는 우선 활용 가능한 자원을 최적화하는 방안을 진행하는 것이다.제주도는 섬으로, 육지부와 떨어진 지리적 특성 등으로 인해 우선, 전원 체계를 가동하면서 제주 지역 병원에서의 1차 수용을 강화하고 있다.이어 제주도는 제주 의료 인력 자원 등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24시간 당직 운영 시스템을 지원하고 있다.응급실이 중증 응급환자를 수용하기 위해서 응급실 진료 이후에 전문 진료과의 치료가 뒷받침돼야 하지만, 제주는 의료 인력의 충원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주도는 제주형 당직 지원체계를 도입해 제주 지역 의료진 등 의료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고 있다.제주 지역 의료 취약점 중 하나는 지역 내 의료 격차다. 서귀포 지역 응급환자의 경우 상당수가 제주시 지역 병원으로 옮겨지고 있다. 서귀포 시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서는 응급환자를 신속하게 이송해야 하는 상황이다.이에 따라 제주도는 서귀포의료원에 닥터헬기가 이착륙할 수 있는 헬리포트를 조성하고 있다.제주도는 2023년 12월 1일부터 응급 중증환자 등을 신속하게 수송하기 위해 제주 응급의료 전용 헬기 운항을 시작하는 등 필수·응급의료 체계 구축에 나서고 있다.도는 지난해 8월부터 올해 5월까지 9개월간 총사업비 40억원을 투자해 제주국제공항 내 연면적 774.38㎡의 지상 1층 격납고와 2035.18㎡의 계류장을 준공했다.제주 응급의료 전용 헬기는 추자도, 우도 등 제주 지역 부속 섬과 서귀포시 등 응급의료 취약지역에서 중증 외상, 심근경색, 뇌졸중 등 중증 응급환자의 이송을 위해 마련됐다.서귀포의료원 헬기 이착륙장 조성 사업이 완료되면 서귀포 지역 중증 응급환자 이송 체계는 지금보다 한층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한편, 제주도는 지난 5월 ‘지방자치단체 합동 평가’에서 응급의료 분야 우수 사례로 선정됐다. 제주도 관계자는 “제주의 지리적 한계와 특성을 고려해 응급·필수의료 운영체계를 구축했고, 지역 내 협력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시책 등을 마련하고 있다”라며 “제주도민이 체감하고, 신뢰할 수 있는 현장 중심의 시책을 발굴해 생명이 안전한 섬, 제주를 구현하겠다”라고 말했다. 윤주형 기자<이 기사는 제주도 지원을 받아 작성했습니다>출처 : 바른지역언론연대(http://www.bjynews.com)
기자명윤주형